kim sarah's profile

URBAN PROMENADE

 
‘ i n g ’  끊임없이 생동하는 찰나. 그것은 시퀀스의 개념도 정반합의 개념도 아닌 같은 질량으로 지속되며 영원한 진동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사실들은 순간으로 존재한다.흔적은 지나간 과거의 자취만이 아니라  매 순간순간 만들어내고 있고 만들어낼 수 있는 동시적인 결과물이기도 하다.  어떠한 ‘작용’ 없이 나타나는 무한한 흔적의 형상을 공간에 도입, ‘공간자체’의 형태, 그 보다는 그 곳을 지나가는 사람들과 전시물들의  ‘flow’ 가 하나의 형태가 되어 흔적처럼 작용 하도록 적용시켰다.  우리의 일상이 되는 흔적처럼 공간 내로의 사람들의 진입과 이동 행태는 매우 자연스럽게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urban promenade(도심속의 산책로)를 형성하고,  그러한 행위들은 이 공간을 부동의 형태이지만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살아있게 만든다
 

URBAN PROMENADE 의 가장 큰 특징은 동선을 비롯한 모든 경계를 공간 안에서 지워 냄으로써 공간 안의 대상이 정제되어있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CENTER 와 THE OTHER SIDE의 개념이 없어지면서 내가 서 있는 그 
곳이 중심이 되고 산책하는 관람자에 의한 SerendIpIty(우연히 발견되는). 그 가능성을 최대한 확장시키며 공간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Urban Promenade의 목적이다.

이렇게 인간의 자취를 따라 공간이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은 물론 경계의 지워짐을 통해 사람들과 전시물들의  flow 는 스며들 듯이 자연스럽게 공간 곳곳에 유입되고 이러한 흔적은 공간의 형태로도 작용하여 끊임없이 생동하는 공간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공간 내 진입로와 매개 공간이 되는 지하 램프 밖에서도 전시를 볼 수 있는 형태는 오픈된 뮤지엄으로서 갤러리로의 접근성을 높여준다. 또한 공간 외부를 비롯 모든 영역에서 관람이 가능하며 경계의 없어짐은 기존의 갤러리들에 요구되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자연스럽게 해결하고 있다. 

‘Image’의 현상  -  침묵의 흔적
이미지는 사물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의 부재로 드러난다.
 
공간 안의 대상이 정제되어있지 않음.=> 게릴라형전시/ 의도되지 않는 동선,
 
 

‘image’세계의 지각방식   -  응결의 흔적               

분절된 이미지를 찰나의 존재로서 포착함으로써 흔적은 오히려 형상의 명백함이 된다.

1. 인간의 자취를 따라가는 궤적
2, Major wall 을 통한 순간적인 구성
Touch screen 이용한 information booth=>건물외곽- flow의 가시화 



‘image’의 목적성  -  융해된 흔적

존재자 없는 존재자로서의 이미지는 대상에 대한 지각이 끊임없이 유예되지 않는 상태의 감각과 관계한
다는 점에서 시간에 구애 받지않고 흥미로운 미적체험의 대상이 된다.

이중구조 외부에서 관람, 개관시간에 구애받지 않음.
 
URBAN PROMENADE
Published:

URBAN PROMENADE

2006 URBAN PROMENADE (도심속의 산책로) Interactive Gallery

Published: